지금까진 테이블을 제공했지만 이제 직접 내 마음대로 테이블을 만들어보자.

 

 

CREATE TABLE 테이블명(컬럼명 타입, 컬럼명 타입, 컬럼명 타입);

 

테이블을 만드는 명령어는 CREATE다.

 

위 구문을 해석하자면

CREATE = 만들어줘라

TABLE = 테이블을

테이블명 = 테이블이름은 이것이고

컬럼명 = 컬럼명과 

타입 = 타입은 이렇게해서!

 

백문여불여일견이라고, 지금부터 직접 작성해보겠다.

 

create table users
(
	idx int ,
	nickName varchar(20),
	age int,
	phone varchar(20)
);

idx는 인덱스(index)의 줄임말로

추후 빠른 검색이나 특정 행을 빠르게 파악하기 위해 보통 사용한다.

 

우리는 users 라는 테이블을 만들고

idx와 닉네임, 나이, 연락처를 담을 공간을 만들었다.

idx는 순서를 나타낼것이니 정수형인 int,

닉네임은 20글자까지 한정해서 varchar(20),

나이 역시 정수니까 int,

연락처는 문자니까 varchar(20)을 사용해

널널하게 20글자까지 범위를 주었다.

 

 

우리가 쓴 컬럼들로 위 와같은 테이블이 만들어 졌다.

 

 

 

 

다음 글에서 이 테이블의 값을 채울 INSERT문을 배워보자.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라이프코리아트위터 공유하기
  • shared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