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st란 페이스북 팀이 개발한 테스트용 라이브러리 테스트 주도 개발 (TDD) 방식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유효성 검증이나 함수의 기댓값을 검증하려고 매번 업데이트시마다 일일이 테스트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을 커멘드 하나로 해결 가능함. 설치 npm i jest 기본 사용법 test("1 is 1", () => { expect(1).toBe(1); }); test(표기할로그,() => { expect(파라미터).검증함수; }); 응용 import { test } from "../test/Test"; describe("validate total length", () => { it("This is test function", () => { expect(test(221)).toBeFalsy() // 반환값이..
분류 전체보기 검색 결과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다보면 Promise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직역하면 약속인건 대충 알겠는데 이게 함수인지 메서드인지 뭔지 정확히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이번 글에서는 Promise가 뭔지 간단하게 알아볼 것이다. 간단한 예로 실행순서가 보장되어야하는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와서 출력해야하는 상황을 가정해보자. 데이터 요청 > 데이터 수신 > 데이터 출력 이 세 가지 순서가 기본적으로 보장되어야 하지만 비동기로 운영되는 자바스크립트는 데이터를 요청해두고 수신되기전에 출력부터 해버리려고한다. 출력하는 입장에서는 당연히 데이터가 없는데 출력은 하라고하니 당황해서 에러를 뱉을 것이다. 그리하여 이런 경우는 동기적으로 운영하여 순서를 보장해주어야한다. 그러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Promise다. Promise..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다보면 콜백함수(Callback Function)라는 말을 자주 접한다. 이번 글에서 콜백함수는 무엇인지 정의를 확실하게 내리고 어떤 경우에 어떻게 사용하는 지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가진다. Callback이란 두가지만 기억하자. 1. 함수에 Parameter로 넘길 수 있는 함수. 2. 어떤 이벤트가 일어났을 때 일어나는 함수. 첫번째. 아래 코드를 보자 function test() { console.log("hello"); } function print(params) { params() } print(test); test라는 함수는 hello를 출력하는 함수고 가장 아래에서 print라는 함수를 실행하면서 파라미터로 test함수를 넘겨주었다. print함수 내부에서는 ..
이름 잘 지은 변수 하나 열 클래스 안 부럽다. 개발자들은 개발하는데 공수도 많이 들어가지만 아무래도 혼자 일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또 과거의 나는 남이기 때문에 내 코드를 나중에 내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예로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가져오는 함수의 이름을 짓는다고 해보자. 사실 핵심은 getApple이기에 이렇게 지어도 되겠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코드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고 관여했기 때문에 추론할 수 있는 네이밍이다. 처음 보는 사람도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네이밍을 해야 한다. 생각하게 만들지 말자 적절한 단어 선정으로 이해시킬 자신이 없다면 있는 그대로 쓰자. 설명이 적은 것보다는 많은 게 그래도 낫다. 적어도 나한테 물어보진 않을 테니 모두가 아는 단어라면 줄이자 일반적으로 업계에서 통용되는 단..
본 강의는 시리즈 출간물입니다. 아래의 게시글을 선행했다는 전제로 글을 작성합니다. 2022.01.12 - [분류 전체보기] - SQL 혼내주기 [INSERT] 이번에는 업데이트와 삭제를 알아보자. 원활한 진행을 위해 아래 코드를 DB에 붙여 넣자 truncate users; insert into users (idx,nickName,age,phone) values (1,"james",23,"010-0000-1111"); insert into users (idx,nickName,age,phone) values (2,"alex",41,"010-2222-3333"); insert into users (idx,nickName,age,phone) values (3,"momo",11,"010-4444-5555");..
이전 글 2022.01.11 - [분류 전체보기] - SQL 혼내주기 [CREATE] 이전 게시글에서 무사히 잘 따라왔다면 위와 같은 테이블이 만들어져 있을 것이다. 이제 우리는 INSERT를 통해 타입에 맞게 값을 삽입해 볼 것이다. insert into users (idx,nickName,age,phone) values (1,"james",17,"010-1234-5678"); select * from users; 위 코드를 쳐보면 insert로 값을 삽입하고 select를 통해 실제로 값이 들어갔는지 조회할 수 있다. insert into 테이블명 (삽입할컬럼명) values (삽입값); INSERT는 위 구조를 가지는데 컬럼명과 values의 값이 순서대로 매칭 된다고 보면 된다. 고로 짝이 맞아야..
최근댓글